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죽은 시인의 사회 읽기(Dead Poets Society) - chapter 7

by 리나(쌤) 2023. 1. 30.

Chapter 7 단어정리

anthology n) 문집
longhand n) 손으로 쓰기
marshal n) 진행 요원
gnarled adj) 울퉁불퉁하고 비틀린
stuff v) 쑤셔넣다
eerie adj) 으스스한
trudge v) 느릿느릿 걷다
shriek v) 소리를 지르다
eat it (속어) 빌어먹을
barren adj) 척박한
sanctuary n) 안식처, 보호구역
solemn adj) 엄숙한
wince v) 움찔하고 놀라다
rout v) 궤멸시키다
blazing adj) 격렬한
staunch adj) 확고한
tender adj) 상냥한
prowess n) 솜씨
ditty n) (흔히 유머) 짤막한 노래
trample v) 짓밟다
mirth n) 웃음소리
prophesy v) (종교적이나 마법같은 힘을 이용하여) 예언하다
growl v) 으르렁거리듯 말하다
dim adj) 어둑한
impassioned adj) 열정적인
pound out v) ~을 쿵쾅거리며 치다
barrel n) 통
sag v) 축 늘어지다
reel v) 비틀거리다
revel n) 왁자지껄한 축하
derison n) 조롱
entranc v) (격식) 도취시키다
clown v) 광대짓을 하다
whoop v) 와 하고 함성을 지르다
sway v) 흔들리다
pitch n) 최고조
morose adj) 시무룩한, 뚱한
woo v) 구애하다
creed n) 신념
abeyance n) (일시적) 중지, 정지
desperation n) 필사적임
resign to v) 맡기다, 받아들이다
boisterous adj) 활기가 넘치는
impishly adv) 장난꾸러기 같이
cruise v) 나아가다
clench v) 꽉 쥐다
grimace v) 얼굴을 찡그리다
incredulous adj) 믿지 않는
stir up v) (강한 감정을) 불어 일으키다
cesspool n) 불결한 장소
butt out v) 상관 마
defeated adj) 패배한

 

Chapter 7 요약

 

Chapter 7에서는 아이들이 죽은 시인의 사회 모임을 위해 동굴을 찾아간다. 동굴에서 자신들이 정한 시를 읽고 그 뜻을 향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특히 콩고 리듬을 가진 시를 읽을 때에는 모두가 몰입해서 춤을 주고 소리를 지르고, 나중에는 정글과 같은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이 시를 온 몸으로 즐긴다. 

 

시와 함께 폭발적인 에너지를 쏟은 죽은 시인의 사회 멤버들은 다음날 Mr.Keating의 수업에서 피곤함을 느낀다. Mr.Keating은 언어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여자에게 구애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여자에게 구애를 할 때만큼은 열정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고, 보고서와 같은 학교 숙제에도 없을 것이라고 한다. 이후,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시 인용구와 함께 작가가 의도한대로 생각하지 말고 자신만의 언어와 생각으로 모든 것을 받아들이라고 이야기 한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에게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은 시를 쓰도록 숙제를 내주고 수업을 마친다.

 

금요일을 맞은 아이들은 일과를 조금 일찍 끝내고 각자의 여가 시간을 보낸다. Knox는 자신이 좋아하는 Chris를 보러 학교 밖을 나가고, Neil은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을 찾게 된다. Neil은 여름 밤의 꿈 무대에 올라가고 싶어 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은 Neil은 부모님의 뜻과 상관 없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해 볼 것이라고 다짐한다. 이와 동시에 Todd에게 죽은 시인의 사회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하고 Todd는 내키지는 않지만 우선 알겠다고 대답한다.

 

Chapter 7 기억에 남는 문장

 

If you're sure about something, force yourself to think about it another way, even if you know it's wrong or silly.

 

Mr.Keating이 아이들에게 자신만의 생각을 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장면에서 나오는 구절이다. 어른이 되고 보니 내가 무언가 맞다고 생각하면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깨닫게 되어서 이 구절이 기억에 남는다.

 

내가 맞다고 생각한 것들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지 않으려고 하고, 그저 익숙함이라는 편안함을 더 선호하게 된 것 같다. 또 나만의 생각보다는 편한 쪽을 생각하다 보니 내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 조차도 잊어버린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 그래서 그런지 Mr.Keating의 이 말이 위로가 되었다. 틀렸거나 멍청해 보이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봐야 한다는 말이 용기를 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What's really inside of me.

 

Neil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찾았을 때 하는 말이다. 이 장면은 설렘과 벅참으로 가득차 있어서 읽는 동안 Neil의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 동안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모르다가 찾았을 때의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자신의 친구들, 부모님 모두 회의적이지만 Neil만은 연기가 자신의 길이라며 확신한다. 물론 부모님께는 직접 말씀드리기 어려워하는 Neil은 우선 자신이 연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숨기려고 한다. 그래도 남들이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았음에 함께 기쁨을 느끼는 장면이라서 기억에 많이 남는다.

 

Discussion Questions

- Why language is important? Why should we learn languge?

- Was there anything you loved during your teenage rather than studying?